-
법무비서
8.정기 주주 총회(Annual General Meeting)와 연차보고(Annual Return)
1. 정기 주주 총회(Annual General Meeting)와 연차보고(Annual Return)의 개념 싱가포르 회사법 175항에는 정기 주주 총회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먼저 개최시기의 경우, 회계연도 종료 후 (A) 상장회사의 경우 4개월 이내 (B) 상장회사가 아닌 경우 6개월 이내 개최하여야 하며, 총회 통지를 받을 자격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통지가 제공되는 경우 총회는 언제든지 개최될 수 있습니다. 만약 정기 주주 총회 개최가 불이행 한 경우, 회사와 회사의 임원(Officers)은 $5,000 이하의 벌금을 물게 됩니다. 2. 정기 주주 총회 안건 (1) 재무제표의 승인 (2) 이사 재선임 (3) 결산 배당 (4) 이사의 보수 상한 지정 (5) 주주총회에서 정해야 할 여타의 특별 안건 3. 연차보고(Annual Return) 위와 같이 정기 주주 총회가 완료가 되면 연차보고(Annual Return)을 싱가포르 기업청(ACRA)에 진행해야 합니다. (싱가포르 회사법 197항) 연차보고의 기한일은 (A) 상장사는 회계연도 종료 후 5개월 이내 (B) 상장사가 아닌 경우 회계연도 종료 후 7개월 이내에 진행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상기 연차보고 의무를 준수하지 않은 회사의 경우 회사와 회사의 임원(Officer)은 $5,000 이하의 벌금을 물게 됩니다. 4. 휴면법인의 정의와 연차보고 의무 다음은 휴면(Dormant) 법인의 정의와 휴면 법인도 정기 주주총회와 연차보고 의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싱가포르 기업청(ACRA)에서의 휴면 정의와 싱가포르 국세청(IRAS)의 휴면 정의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는ACRA의 휴면 정의만 설명드리겠습니다. (1) 휴면 법인의 정의 (싱가포르 회사법 205B 항) * 휴면의 대상 법인은 해당 기간 동안 회계상 거래가 없으며 업무를 중단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다만, ACRA에서 인정하는 거래 예외 항목 리스트에 해당될 경우 거래 내역이 있어도 법인 휴면 상태 유지 신고 가능하니 하기를 참조 부탁드립니다. 1법인 주식의 취득 비용2법인 법무비서 선임 비용3감사인 선임 비용4등록 주소지 유지 비용 (* 비즈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지의 오피스 렌트비에만 해당)5레지스터와 법무비서 파일 보관 비용6법률에 명시되어 있는 수수료 및 요금 (지불 연체에 대한 수수료, 벌금 또는 이자 포함)7법률에 명시되어 있는 법인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비용8납입 자본금 납부 비용9거래 내역 금액의 각 절댓값을 더해 SGD 5,000이 넘지 않는 비용 (2) 휴면 법인의 연차보고 의무 상기 휴면 법인의 경우 정기 주주 총회(AGM)는 휴면 법인으로 면제 가능하지만 연차보고는 휴면 법인이라도 반드시 진행을 해야 합니다.
관리자 2023.10.27
238
-
행정지원
7.싱가포르 공증 절차
국제 사업, 이민, 법률 관련 절차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활 속에서도 종종 ‘공증’이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과연 공증이란 무엇일까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공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 법률 국가나 공공 단체가 직권(職權)으로 어떤 사실을 공적으로 증명하는 일. ” 정부 기관에서 발행한 문서인 공문서를 제외한 모든 문서는 사문서로 취급됩니다. 사문서는 개인 혹은 회사 등 정부기관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발행한 문서로, 일반적으로 법률상 효력을 가지기 위해 공증을 받아야 합니다. 즉, 공증은 사문서의 진위와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공식적인 절차를 의미합니다. 공문서와 사문서 예시공문서Business Profile(법인등기부등본), Certificate of Incorporation(법인 설립 증명서), 출생 신고서 등사문서법인 정관, Power of Attorney(위임장), 계약서, 재직 증명서, 은행 잔고 증명서 등 싱가포르에서 주로 진행하는 공증의 종류에는 원본대조공증, 서명공증, 증인공증 등이 있습니다. 원본대조공증(CERTIFIED TRUE COPY)공증인으로부터 Certified True Copy 임을 확인받은 문서는 어떠한 변형, 위조, 혹은 변조가 없는 원본과 동일한 사본임을 보증할 수 있습니다. 공증인은 원본 문서의 사본이 원본과 정확히 같은지 대조하여 확인합니다. 원본대조공증된 사본은 원본 없이도 법적으로 인정받아 다양한 공식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주로 학업 성적표, 신분증, 증명서 등 중요한 문서의 사본이 필요한 경우에 활용됩니다. 사서 인증1) 서명공증 : 가장 일반적인 공증에 해당합니다. 서명공증은 해당 문서가 본인의 의사에 의해 작성된 것임을 증명합니다. 원본대조공증과 달리 서명공증을 위해서는 반드시 서명된 원본을 제출해야 합니다. 주로 위임장, 계약서, 신용증명서 등의 공증에 이용됩니다. 2) 선서인증(Affidavit) : 선서인증은 서명 당사자가 공증인 앞에서 해당 문서에 작성된 내용이 진실임을 선서하고, 그 선서의 내용까지 문서에 기재하여 서명하는 인증입니다. 공증인은 선서와 문서 서명을 지켜보고 공식 인장이나 도장을 찍어 문서를 인증하기 때문에, 반드시 서명 당사자가 공증사무소에 방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위임장, 법원 절차, 부동산 거래, 이민 관련 서류 등에 이용됩니다.(대부분의 위임장 공증은 서명공증 방법을 이용하지만, 제출처 측에서 선서인증을 요구한다면 그에 맞추어 진행해야 합니다.) 이렇게 공증받은 문서는 국제적 사용을 위해 영사 인증 또는 아포스티유(Apostille)를 받아 다른 국가에서도 법적인 효력을 가집니다. 즉, 공증 후 영사 인증 혹은 아포스티유 확인 과정을 거쳐야 해당 서류 제출 국가에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아포스티유를 진행하면 문서를 아포스티유 협약국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싱가포르 또한 협약국의 일원으로 싱가포르에서 얻은 문서는 아포스티유로 인증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서 획득국과 제출국 중 한 곳이라도 아포스티유 협약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영사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아포스티유 협약국으로는 한국과 싱가포르, 중국, 인도네시아 등이 있습니다.아포스티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FAQ 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제적 사용을 위한 전체 공증 절차>문서 확인⇓문서 번역 (필요한 경우)⇓공증 사무소의 공증인 공증 (공문서의 경우 생략 가능)⇓싱가포르 변호사 협회의 공증인 확인 (공문서의 경우 생략 가능)⇓[아포스티유 협약 체결국][아포스티유 협약 미체결국]아포스티유 부착영사 인증공증된 문서 혹은 공문서에 아포스티유를 부착합니다. 보통 외교부 또는 법무부를 통해 발급이 가능하며, 싱가포르는 SAL(Singapore Academy of Law, 싱가포르 변호사협회)에서 주관합니다.아포스티유가 부착된 문서는 동일 협약국으로부터 공적으로 인정됩니다.문서를 사용국의 영사로부터 문서의 진위를 확인받고 해당 국가의 법률과 규정에 부합하는지 검토합니다.재외 공관에 직접 방문하여 영사 인증을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아포스티유에 비해 시간과 절차가 복잡한 편입니다.
관리자 -0001.11.30
363
-
회계결산
6.재무제표 종류와 보는법
재무제표란 기업의 재무상황을 나타내는 보고서로 지난해 기업의 성과를 보여줄 성적표와 같은데요.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의 종류와 간략하게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무제표는 크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공하는 정보가 전부 다릅니다.재무상태표재무상태손익계산서경영성과현금흐름표현금흐름 1.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BS)특정 시점에 법인의 재무상태를 제공하는 보고서입니다.당기와 전기의 자산, 부채, 자본을 함께 표기함으로써 변동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자산과 부채는 현금화 및 상환 기간에 따라 1년 이내의 유동, 1년 이상의 비유동으로 나뉘게됩니다.유동성이 높은 순으로 배열하게 되어있으며 현금화가 얼마나 용이한지를 따져야 합니다.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재고 등이 유동자산에 해당합니다.비유동자산 : 1년 이내에 현금화하기 어려운자산으로 장기투자자산, 고정자산, 무형자산 등이 있습니다.유동부채 : 만기가 1년 이내 도래하는 부채이며 매입채무, 미지급비용, 단기차입금 등이 있습니다.비유동부채 : 만기가 1년 이후 도래하는 부채로 장기미지급금, 차입금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자본은 주주가 투입한 자본금, 기업 내부에서 발생한 가치 변동으로 인해 발생한 자본의 변동액인 기타자본구성요소, 당기순이익이 누적되어 쌓여온 이익잉여금 이렇게 세가지 항목으로 구분됩니다.I자산 Total AssetII+III = IV+VIIII유동자본 Current asset III비유동자본 Non-current asset IV부채 Total LiabilityV+VIV유동부채 Current liability VI비유동부채 Non-current liability VII자본 Total EquityVIII+IX+XVIII납입자본 Capital IX기타자본구성요소 Reserves X이익잉여금 Retained earnings 이 때 재무상태표를 자세히 보시면 자산 = 부채 + 자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법인 운영을 위해 주주가 투입한 자본금과 채권자에게 빌린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면 법인 운영에 사용될 자산이 되기 때문입니다.자산 Asset부채 Liability(타인자본)자본 Equity(자기자본) 2. 손익계산서 Profit and Loss Statement (PL)정해진 기간 내 벌어들인 수익에 발생한 비용을 차감하여 얼마만큼의 이익 또는 손실을 보았는지 보여줌으로써 경영성과에 대한 지표가 됩니다.매출에서 주된 영업으로 인한 매출원가, 영업비용을 차감하고 영업외 수익과 비용을 가감하여 나타냅니다.I매출 Revenue II매출원가 Cost of sales III매출총손익 Gross profit/lossI-IIIV영업비용 Operating expense V영업손익 Operating gain/lossIII-IVVI영업외수익 Other income VII영업외비용 Other expense VIII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Net profit/loss for the yearV-VI-VIIIX법인세 비용 Income tax expense X당기순이익 Net profit/loss for the yearVIII-IX 3.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특정 기간동안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했고, 어디에 사용했는지 영업, 투자, 재무 활동별로 분류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앞서 안내드린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와는 다르게 현금기준에 기초하여 작성되어 미래 현금흐름 예측을 도와주고, 채무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I.영업활동 현금흐름II.투자활동 현금흐름III.재무활동 현금흐름IV.현금의 증가/감소 (I+II+III)V.기초의 현금VI.기말의 현금 (IV+V) 4. 총계정원장 General Ledger 재무제표를 작성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며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모든 계정을 수록한 장부입니다.계정별로 일자별 가감항목과 변동액, 잔액 누계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재무상태표에는 잔액 누계액이, 손익계산서에는 변동액이 반영됩니다. 오늘 이렇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와 추가로 총계정원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실 경우 아토즈 문의 채널을 통해 상담을 요청해주시면 안내해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관리자 -0001.11.30
2,429